“시내 서대문뎡에 있는 광서유년체육부(光西幼年體育部)에서는 권구(拳球)를 장려(獎勵)하기 위하야 이십사일에 전선권구대회(全鮮拳球大會)를 개최하리라는데 참가 단체가 20여개 단체라 하고 운동장은 영성문안 중앙불교포교당(中央佛敎布敎堂)이라 합니다.” - 1927년 7월 23일 치 <동아일보>(제목: <유년권구대회·幼年拳球大會 전조선적·全朝鮮的으로>)
위 기사에 등장하는 권구(拳球)는 일제강점기 일본에서 유입되었다.
고무공과 함께 들어온 권구는 소년부, 청년부, 장년부로 나뉘어 전국규모 대회가 열릴 정도로 유행하였다.
기록에 따르면 1920~1930년대 서울에는 동네마다 소년체육부가 있어 신장 150cm 이하 유소년이 참가하는 권구대회가 자주 열렸다.
야구만큼이나 열기가 뜨거웠고, 심판의 편파판정 시비로 욕설과 주먹다짐이 일어나는 사례도 종종 있었다.
고무공을 주먹으로 쳐서 하는 야구식 경기인 권구는 광복 후에도 서울과 지방에서 크고 작은 대회가 열렸다.
세월이 지나고 놀이문화가 다양해지면서 아이들 놀이가 되었다.
배트를 사용하는 야구는 시설이 갖춰진 넓은 운동장이 필요하지만, 주먹이 곧 배트였던 권구는 골목이나 추수가 끝난 논밭, 개천가, 구릉지 등에서도 가능했기 때문이었다.
권구는 사용하는 공에서부터 야구나 연식야구와 차이가 난다.
야구공은 딱딱한 가죽으로 싸여 있고, 연식공은 두꺼운 고무로 되어 있으며, 권구는 말랑말랑한 고무공을 사용했다.
또한, 야구와 연식야구는 선수들이 글러브를 착용하고 포수가 안전장비를 갖춰야 했지만, 권구는 손이 배트도 되고 글러브도 되고 해서 다른 장비가 필요 없었다.
가슴을 뛰게 했던 흑백사진 한 장
귀한 사진으로 얼마 전 지인에게 기증받았다.
흔히 보는 단체사진이지만 반가움과 함께 감탄사가 터져 나왔다.
군산의 야구 자료를 모으는 중이어서 가슴이 콩닥콩닥 뛰기까지 했다.
'군산 의용소방대 제1회 권구대회 우승기념'이라는 글귀와 촬영 연도에서 군산 야구 역사의 한 페이지를 장식할 소중한 사진이라는 생각이 들어서였다.
일본에서 시작된 것으로 알려지는 권구는 누구나 쉽게 즐길 수 있도록 장비와 게임방식을 간소화한 대중 스포츠였다.
그래서 그런지 사진에서 글러브는 물론 배트도 보이지 않는다.
대원들이 유니폼 차림도 아니다. 단지 우승 상패를 가슴에 품은 대원 앞에 고무공 두 개만 달랑 놓여있을 뿐이다.
1회 대회 패권을 거머쥐어서 그런지 23명 모두 희색이 만면에 가득, 만족스러운 표정들이다.
결승전을 승리로 이끌고 기념사진을 찍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든다.
왼팔에 하얀 완장을 두르고 소매를 걷어붙인 사람들이 막 경기를 끝낸 선수로 보여서다.
단기 4284년 9월 30일. 촬영날짜가 어제 써넣은 것처럼 선명하다.
서기로는 한국전쟁이 발발한 이듬해인 1951년으로 그해 1·4후퇴 때 미군 수송함(LST)이 진남포에서 싣고 온 피난민 5만여 명 중 절반이 군산에 정착하여 난민 수용소나 산비탈에 움막을 짓고 살던 때였다.
그렇게 사회가 혼란스럽고, 끼니도 잇기 어려웠던 시절에 권구대회가 열렸다니 놀랍다.
군산 의용소방대는 1945년 11월 30일 발생한 '군산경마장 폭발사건'과 인연이 깊다.
당시 대형화재를 진압하다 대원 아홉 명이 순직했기 때문이다.
지금도 월명공원(대사산)에 오르면 순직대원들 이름과 ‘의용불멸'(義勇不滅)’이 새겨진 위령탑이 세워져 있다.
위령탑은 1961년 세워졌으며 군산소방서는 해마다 유가족이 참석한 가운데 숭고한 희생정신을 기리는 추모제를 지낸다.
지인은 자신의 아버지가 군산에서 이름난 한정식당(청춘옥)을 1980년대까지 운영하였고, 군산 의용소방대 부대장이었으며 사진을 찍은 장소는 구 군산경찰서 뒷마당이라고 했다.
그는 “몇 년 전 공용주차장으로 변모한 구 경찰서 뒷마당은 50~60년대 군산극장이나 남도극장에 쇼가 들어오면 배우와 단원들이 청춘옥에서 점심을 먹고 축구와 권구시합을 했던 곳이었다.
그밖에 동(洞) 단위로 치르는 소규모 행사도 자주 열렸다.”라고 덧붙였다.
군산 의용소방대 제2회 권구대회는 이듬해(1952) 5월에 열렸다.
그러나 언제까지 대회가 지속됐는지는 확인할 수 없다. 다만 거리에 굴러다니는 돌멩이도, 빈 깡통도, 나무 조각도 소중한 놀이기구가 됐던 시절 아이들에게 권구는 최고의 놀이였다.
필자도 코흘리개 시절 동네 형들과 치고 달리고 말씨름 벌이면서 해지는 줄 모르고 즐겼으니까. (계속)